농작물 느타리버섯 생산유통의 효율화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3 09:15
본문
Download : 농작물 느타리버섯 생산유통의 효율화방안.hwp
버섯은 WTO 가입과 농산물개방 이후 가장 대표적인 농가소득 작목으로 재배농가수는 약 2만호, 생버섯 총재배면적은 약 17만ha, 생산액은 약 7,000억원으로 농산물 생산액의 3%를 점유하고 있는 작목이다 <표 1 참조>.
<표 1> 농작물 종류별 총생산액 및 비율
작 목재배면적(ha)생산액(억원)비 율(%)식량작물
채 소
과 일
버 섯
화 훼
특 용
약 용1,318,192
353,725
172,790
1,102
4,936
76,923
9,936114,355
67,245
25,805
6,839
5,389
3,701
2,93151.5
29.7
11.4
3.0
2.4
1.6
1.4
자료(資料) : 농림통계년보 2002년.
국내 총 버섯 생산량은 약 167,000여 톤으로 주요재배 버섯은 느타리, 팽이, 표고, 양송이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각 버섯별 생산비율은 느타리 42.1%, 팽이 22.7%, 표고 22.6%, 양송이 10.8% 순이다<표 2 참조>.
또한 국내생산 버섯류의 수출입 現況을 보면 2000년도에는 무역수지가 적자인 약 2,479천불의 무역적자가 시현되었다. 이는 china(중국) 으로부터 수입되는 건조 및 저가의 버섯수입 증가의 요인도 있겠으나 국내의 생산비상승, 연중생산기반의 취약한 점…(투비컨티뉴드 )
,경영경제,레포트
농작물 느타리버섯 생산유통의 효율화방안에 대한 資料입니다.
레포트/경영경제






다. up느타리버섯생산과유통의효율화방안 , 농작물 느타리버섯 생산유통의 효율화방안경영경제레포트 ,
Download : 농작물 느타리버섯 생산유통의 효율화방안.hwp( 46 )
Ⅰ. 서 론
Ⅱ. 느타리버섯 생산과 소비現況
1. 버섯재배의 특징
2. 생산現況
3. 소비동향
4. 재배 전망
5. 버섯재배의 당면해결해야할문제
Ⅲ. 느타리버섯 유통의 효율화대안
1. 농산물 유통의 property(특성)
2. 농산물 유통경로
3. 느타리버섯 유통 現況
4. 느타리버섯의 유통효율화대안
5. 느타리버섯 유통improvement 실예
Ⅳ. 결 론
참 고 문 헌
Ⅰ. 서 론
우리나라의 버섯재배는 1960년대 양송이재배를 처음 으로 1980년대까지 농산물 수출품목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1970년대에 느타리버섯 볏짚재배법이 개발된 이래 현재까지 중요한 농가 소득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아
1980년대에는 약용버섯이 주종을 이루어 영지버섯재배법이 개발된 후 생산이 급격히 증가했고 1990년대 초에는 복령, 천마 등이 개발되어 버섯류 소득원이 다양해졌으며 최근에는 항암재로 효능이 탁월한 신령버섯, 상황버섯 등의 재배방법이 농가에 보급되면서 농산촌의 소득원으로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up느타리버섯생산과유통의효율화방안
농작물 느타리버섯 생산유통의 효율화방안
설명
순서
농작물 느타리버섯 생산유통의 효율화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