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 조사방법론] theory (Theory)이란 무엇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00:30
본문
Download : [조사방법론] 이론(Theory)이란 무엇인가(이론,명제,개념,변수,연구).hwp
명제란 상호연관된 관념(concept)간의 관계를 의미한다.
이흥탁(1990), 사회학원론, 법문사
Download : [조사방법론] 이론(Theory)이란 무엇인가(이론,명제,개념,변수,연구).hwp( 56 )
우선 이론은 예측력뿐만 아니라 설명(explanation)력(explanatory power)을 지녀야 한다.
순서
최창현 역(1992), 행정조직이론, 대영文化사
사회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일련의 명제(proposition)를 지칭하는 이론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목적 및 기능, 그 구성요소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는 글 입니다. 2. 이론의 목적 및 기능
1. 이론의 의의
설명
즉, 이론(理論)이란 “사회현상을 설명(explanation)하고 예측하기 위한 일련의 명제(proposition)”이다. 따라서 연구과업을 시작하기 전이건 후이건간에 연구자는 이론을 구성하려고 시도한다. 만일 직위와 소득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이 있다면, 갑의 직위를 알 경우 갑의 대략적인 소득을 예측할 수 있다아 끝으로 이론은 의도적이건 아니건간에 사후적 합리화의 한 방편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또 어떤 사람에게 있어서는 이론이란, 실질적인 일의 실제세계와는 격리되고, 구분되고, 이국적인 것을 의미한다. 설명(explanation)이란 특정관계에 대한 명제가 사회현상을 기술할 수 있는 정도로 규정될 수 있으며, 이론은 많은 사회현상을 단순한 명제로 설명(explanation)할 수 있도록 설명(explanation)력을 가질 때 좋은 이론이 된다 그러나 이론은 단지 설명(explanation)력뿐만 아니라 예측력도 지녀야 한다. 과학적인 의미에서의 이론은 觀察(관찰) 된 사회현상을 설명(explanation)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예측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또 어떤 사람들에게 있어서 이론이란, 무엇이 잘못됐는지에 대한 이론을 가지고 있다라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설명(explanation)관념을 지닌다(최창현 역, 1992).„. 이론의 목적 및 기능
편의상 이론을 상황이나 문제를 이해하게 해 주는 지적 구성으로 즉, 실제적 이론(Practical Theory)으로 규정한다. 그러면 실제적 이론이란, 다른 방법으로는 명백하지 않을 행동의 가능성을 조명해 주거나 이미 행동하고 있는 것을 좀더 이해하도록 자극하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아 실제적인 이론의 두번째...
Weber, Max(1949), The Theory of Social & Economic Organization Glencoe : Free Press
3) 변수(變數
이론(Theory)이란 무엇인가
[reference]
[본문일부]
1. 이론의 의의
Gerth & Mills, W(1958), From Marx Weber : Essays in Soc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사회현상을 설명(說明)하고 예측하기 위한 일련의 명제(proposition)를 지칭하는 theory 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목적 및 기능, 그 구성요소에 상대하여 일목요연하게 설명(說明)하고 있는 글 입니다.
3. 이론의 구성요소
1) 명 제(命題)
![[조사방법론] 이론(Theory)이란 무엇인가(이론,명제,개념,변수,연구)-609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1/%5B%EC%A1%B0%EC%82%AC%EB%B0%A9%EB%B2%95%EB%A1%A0%5D%20%EC%9D%B4%EB%A1%A0(Theory)%EC%9D%B4%EB%9E%80%20%EB%AC%B4%EC%97%87%EC%9D%B8%EA%B0%80(%EC%9D%B4%EB%A1%A0,%EB%AA%85%EC%A0%9C,%EA%B0%9C%EB%85%90,%EB%B3%80%EC%88%98,%EC%97%B0%EA%B5%AC)-6091_01.gif)
![[조사방법론] 이론(Theory)이란 무엇인가(이론,명제,개념,변수,연구)-6091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1/%5B%EC%A1%B0%EC%82%AC%EB%B0%A9%EB%B2%95%EB%A1%A0%5D%20%EC%9D%B4%EB%A1%A0(Theory)%EC%9D%B4%EB%9E%80%20%EB%AC%B4%EC%97%87%EC%9D%B8%EA%B0%80(%EC%9D%B4%EB%A1%A0,%EB%AA%85%EC%A0%9C,%EA%B0%9C%EB%85%90,%EB%B3%80%EC%88%98,%EC%97%B0%EA%B5%AC)-6091_02_.gif)
![[조사방법론] 이론(Theory)이란 무엇인가(이론,명제,개념,변수,연구)-6091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1/%5B%EC%A1%B0%EC%82%AC%EB%B0%A9%EB%B2%95%EB%A1%A0%5D%20%EC%9D%B4%EB%A1%A0(Theory)%EC%9D%B4%EB%9E%80%20%EB%AC%B4%EC%97%87%EC%9D%B8%EA%B0%80(%EC%9D%B4%EB%A1%A0,%EB%AA%85%EC%A0%9C,%EA%B0%9C%EB%85%90,%EB%B3%80%EC%88%98,%EC%97%B0%EA%B5%AC)-6091_03_.gif)
![[조사방법론] 이론(Theory)이란 무엇인가(이론,명제,개념,변수,연구)-6091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1/%5B%EC%A1%B0%EC%82%AC%EB%B0%A9%EB%B2%95%EB%A1%A0%5D%20%EC%9D%B4%EB%A1%A0(Theory)%EC%9D%B4%EB%9E%80%20%EB%AC%B4%EC%97%87%EC%9D%B8%EA%B0%80(%EC%9D%B4%EB%A1%A0,%EB%AA%85%EC%A0%9C,%EA%B0%9C%EB%85%90,%EB%B3%80%EC%88%98,%EC%97%B0%EA%B5%AC)-6091_04_.gif)
![[조사방법론] 이론(Theory)이란 무엇인가(이론,명제,개념,변수,연구)-6091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1/%5B%EC%A1%B0%EC%82%AC%EB%B0%A9%EB%B2%95%EB%A1%A0%5D%20%EC%9D%B4%EB%A1%A0(Theory)%EC%9D%B4%EB%9E%80%20%EB%AC%B4%EC%97%87%EC%9D%B8%EA%B0%80(%EC%9D%B4%EB%A1%A0,%EB%AA%85%EC%A0%9C,%EA%B0%9C%EB%85%90,%EB%B3%80%EC%88%98,%EC%97%B0%EA%B5%AC)-6091_05_.gif)
연구과업을 시작하려면 모든 연구자는 이론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이론, 명제, 개념, 변수, 연구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 “이론”은 비교적 간단한 사건인 듯 보이는 것을 기술하는 복잡한 전문용어이다. 또한 관념이란 특定義(정의)미가 부여된 용어이다.
2) 개 념(槪念)
[목차]
레포트 > 기타
Parsons, Talcott(1951), The Social System, Glencoe : Free Press
Kerlinger, Fred N.(1964), Foundations of Behavioral Research, N.Y : Holt Binehart & Winston
future 연구(1994), 19세기에서 본 the twenty-first century, 청년문예
[사회학, 조사방법론] theory (Theory)이란 무엇인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