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약학] 노벨 생리의학상 연구 (1922년에서 1977까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0 08:23
본문
Download : [의학,약학] 노벨 생리의학상 연구 (1922년에서 1977까지).pptx
마이어 호프와 힐 박사님의 업적은..
_SLIDE_7_
마이어 호프 박사님은 이 사실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test(실험) 적으로 증명하셨습니다
근육의 회복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젖산대사가 산소소비와 같지 않았음을 알게되었습니다
(산소가 소비되는 양이 동시에 일어나는 젖산대사의 3분의 1 내지 4분의 1 정도밖에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_SLIDE_4_
오토 프리츠 마이어호프(Otto Fritz Meyerhof, 1884~1951)
독일의 생화학자
화학적 방법으로 근육에서 일어나는 산소소비와 탄수화물과 젖산의 전환을 연구함으로써 공동 수상자 아치볼드 힐의 연구를 보완하였다.
...
_SLIDE_1_
노벨 생리의학상 연구(1922/1977)
_SLIDE_2_
근육 내 열생산에 관한 연구산소 소비와 젖산대사의 고정관계 연구로 다음 2분이 노벨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노벨상 수상자
1. 근육 내 열생산에 관한 연구로 아치볼트 비비안 힐
2. 산소 소비와 젖산대사의 고정관계 연구로 오토 프리츠 마이어호프
1922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_SLIDE_3_
아치볼드 비비안 힐(Archibald Vivian Hill, 1886~1977)
영국의 생리학자이자 생물물리학자
정밀한 열전기적 방법으로 근육의 열 생산과 시간의 관계를 analysis(분석) 함으로써 공동 수상자 오토 마이어호프의 연구를 보완하였다.
_SLIDE_4_
오토 프리츠 마이어호프(Otto Fritz Meyerhof, 1884~1951)
독일의 생화학자
화학적 방법으로 근육에서 일어나는 산소소비와 탄수화물과 젖산의 전환을 연구함으로써 공동 수상자 아치볼드 힐의 연구를 보완하였다. 열생성을 계산 해 보면 자발적으로 나타나는 산소소비 …(skip)
[의학,약학] 노벨 생리의학상 연구 (1922년에서 1977까지)
[의학,약학] 노벨 생리의학상 연구 (1922년에서 1977까지)
다.
_SLIDE_5_
마이어 호프와 힐 박사님의 업적은..
_SLIDE_6_
화학적 방법으로 근육에서 일어나는 산소소비와 탄수화물과 젖산의 전환을 연구하였습니다
이전까지의 과학자들은 젖산의 존재는 알고있었으나, 젖산이란 근육운동의 결과로 생성되고, 근육피로를 일으킨 후 모두 연소되어 사라져버리는 물질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러므로 젖산의 나머지 3분의2 또는 4분의 3은 연소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소멸된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열생성과 산소소비에 관해서도 마찬가지 結論(결론)을 얻었습니다.[의학,약학],노벨,생리의학상,연구,(1922년에서,1977까지),의약보건,레포트
![[의학,약학]%20노벨%20생리의학상%20연구%20(1922년에서%201977까지)_pptx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B%85%B8%EB%B2%A8%20%EC%83%9D%EB%A6%AC%EC%9D%98%ED%95%99%EC%83%81%20%EC%97%B0%EA%B5%AC%20(1922%EB%85%84%EC%97%90%EC%84%9C%201977%EA%B9%8C%EC%A7%80)_pptx_01.gif)
![[의학,약학]%20노벨%20생리의학상%20연구%20(1922년에서%201977까지)_pptx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B%85%B8%EB%B2%A8%20%EC%83%9D%EB%A6%AC%EC%9D%98%ED%95%99%EC%83%81%20%EC%97%B0%EA%B5%AC%20(1922%EB%85%84%EC%97%90%EC%84%9C%201977%EA%B9%8C%EC%A7%80)_pptx_02.gif)
![[의학,약학]%20노벨%20생리의학상%20연구%20(1922년에서%201977까지)_pptx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B%85%B8%EB%B2%A8%20%EC%83%9D%EB%A6%AC%EC%9D%98%ED%95%99%EC%83%81%20%EC%97%B0%EA%B5%AC%20(1922%EB%85%84%EC%97%90%EC%84%9C%201977%EA%B9%8C%EC%A7%80)_pptx_03.gif)
![[의학,약학]%20노벨%20생리의학상%20연구%20(1922년에서%201977까지)_pptx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B%85%B8%EB%B2%A8%20%EC%83%9D%EB%A6%AC%EC%9D%98%ED%95%99%EC%83%81%20%EC%97%B0%EA%B5%AC%20(1922%EB%85%84%EC%97%90%EC%84%9C%201977%EA%B9%8C%EC%A7%80)_pptx_04.gif)
![[의학,약학]%20노벨%20생리의학상%20연구%20(1922년에서%201977까지)_pptx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B%85%B8%EB%B2%A8%20%EC%83%9D%EB%A6%AC%EC%9D%98%ED%95%99%EC%83%81%20%EC%97%B0%EA%B5%AC%20(1922%EB%85%84%EC%97%90%EC%84%9C%201977%EA%B9%8C%EC%A7%80)_pptx_05.gif)
![[의학,약학]%20노벨%20생리의학상%20연구%20(1922년에서%201977까지)_pptx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B%85%B8%EB%B2%A8%20%EC%83%9D%EB%A6%AC%EC%9D%98%ED%95%99%EC%83%81%20%EC%97%B0%EA%B5%AC%20(1922%EB%85%84%EC%97%90%EC%84%9C%201977%EA%B9%8C%EC%A7%80)_pptx_06.gif)
순서
설명
Download : [의학,약학] 노벨 생리의학상 연구 (1922년에서 1977까지).pptx( 49 )
레포트/의약보건
[의학,약학] 노벨 생리의학상 연구 (1922년에서 1977까지) , [의학,약학] 노벨 생리의학상 연구 (1922년에서 1977까지)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약학] 노벨 생리의학상 연구 (1922년에서 1977까지)
_SLIDE_1_
노벨 생리의학상 연구(1922/1977)
_SLIDE_2_
근육 내 열생산에 관한 연구산소 소비와 젖산대사의 고정관계 연구로 다음 2분이 노벨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노벨상 수상자
1. 근육 내 열생산에 관한 연구로 아치볼트 비비안 힐
2. 산소 소비와 젖산대사의 고정관계 연구로 오토 프리츠 마이어호프
1922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_SLIDE_3_
아치볼드 비비안 힐(Archibald Vivian Hill, 1886~1977)
영국의 생리학자이자 생물물리학자
정밀한 열전기적 방법으로 근육의 열 생산과 시간의 관계를 analysis(분석) 함으로써 공동 수상자 오토 마이어호프의 연구를 보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