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에 대한 새로운 理論 모색: 구성주의적 신기능주의와 그람시안 국제정치理論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3:26
본문
Download : 구성주의적 신기능주의와 그람시안 국.doc
다. 필자는 구성주의적 시각을 수용하지만, 웬트가 개발한 구성주의 이론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은 아니다.
Download : 구성주의적 신기능주의와 그람시안 국.doc( 73 )
I. 여는 말





설명
그람시안국제관계理論 그람시안국제관계理論 그람시안국제관계理論 / (그람시안 국제관계理論)
그람시안국제관계이론 그람시안국제관계이론 그람시안국제관계이론
서로 계통이 다른 이론/시각들을 접목시키는 작업은 적지 않은 위험을 수반한다. 콕스(Cox)가 주도하고 있는 그람시안 국제정치이론도 구성주의적 요소를 다분히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신기능주의와 그람시안 국제관계이론을 구성주의라는 공통분모를 통하여 접목시키는 데 있다 대표적인 학자들을 거명하자면, 하스(Haas)와 콕스를 접목시키는 것이 이 글의 주목적이며 이 접목에서 웬트(Wendt)가 공통분모가 되는 셈이다. 마찬가지로, 하스와 콕스에서 구성주의적 요소를 추출하여 강조하는 경우에도 구체적인 취사선택은 결국 필자의 선택이다. 단지 1990년대 이래 웬트가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는 구성주의 시각의 주요 요소들이 하스와 콕스의 접근 속에서 적지 않게 발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스와 콕스를 접목시키는 데 웬트가 공통분모가 된다고 하였지만, 그렇다고 해서 웬트가 개발한 구성주의 이론 전체가 공통부분이 된다는 것은 아니다. 이런 점에서, 서로 다른 이론/시각을 접목시키는 작업에는 본래의 이론이 왜곡될 위험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II. 구성주의적 신기능주의 접근
V. 더 여는 말
III. 그람시안 국제관계이론
순서
IV. 남북한 관계에 대한 함의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그람시안국제관계이론 그람시안국제관계이론 그람시안국제관계이론 / (그람시안 국제관계이론)
남북관계에 대한 새로운 理論 모색: 구성주의적 신기능주의와 그람시안 국제정치理論
이 글은 구성주의적 신기능주의와 그람시안(Gramscian) 국제정치이론의 접목을 통하여 남북한 관계를 바라보는 새로운 이론적 접근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성주의적 신기능주의는 구성주의와 신기능주의를 종합한 것이 아니라, 애초에 신기능주의 접근이 담고 있는 구성주의적 요소들을 특별히 강조하여 놓은 것이며, 엄밀한 의미에서는 신기능주의의 구성주의적 해석이라고 하는 것이 옳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