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경영]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개념(槪念)에 대한 실무 연구 /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개념(槪念)에 대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4:44
본문
Download :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개념에 대한 실무 연구.hwp
여기에서, ‘항상 사용자의 이익을 대표하는 자’는 통상 사용자에 전속되어 사용자의 업무를 보조하는 비서·전용운전수, 사용자의 지시를 받아 근로자에 관한 감시·감독적 지위에 있는 감사담당 부서의 직원, 회사의 재산 보호·출입자 감시·순찰과 같은 경찰적 업무를 담당하는 자 등을 말한다. 다만, 근로시간 중 교섭한 경우의 임금지급, 후생자금이나 복지기금의 기부, 최소규모의 조합사무실의 제공 및 조합전임자에 대한 급여지급 등은 ...
경제경영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개념에 대한 실무 연구 /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개념에 대한
Download :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개념에 대한 실무 연구.hwp( 40 )
순서
[경제경영]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개념(槪念)에 대한 실무 연구 /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개념(槪念)에 대한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개념에 대한 실무 연구 1. 노동조합의 정의 노조법상...
다. ■ 경비의 주된 부분을 사용자로부터 원조받는 경우는 노조법상 노조로 인정될 수 없음 노동조합은 사용자로부터 지배·개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비의 주된 부분을 사용자로부터 원조받을 수 없다. 다만, 경비원, 수위는 사업주의 명을 받아 사업주의 물적·인적 재산관리와 보안책임을 맡고 있어 `항상 사용자의 이익을 대표하는 자‘에 해당되나, 아파트 경비원은 단순한 재산관리 업무를 담당하므로 사용자의 이익대표자에 해당되지 않는다.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개념(槪念)에 대한 실무 연구 1. 노동조합의 정이 노조법상...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관념에 대한 실무 연구 . 노동조합의 定義(정의) 노조법상의 노동조합이란 “근로자가 주체가 되어 자주적으로 단결하여 근로조건의 유지·improvement(개선) 기타 근로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하는 단체 또는 연합단체“를 말한다. . 노조법상 노조가 아닌 경우 노동조합에 있어서 ① 사용자의 이익대표자가 참여한 경우, ② 경비의 주된 부분을 사용자로부터 원조받는 경우, ③ 공제·수양 기타 복리사업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④ 근로자가 아닌 자의 가입을 허용하는 경우, ⑤ 주로 정치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등은 노조법상의 노동조합으로 보지 않는다(노조법 제2조). ■ 사용자 및 이익대표자가 참가하는 경우는 노조법상 노조로 인정될 수 없음 사용자(사업주, 사업 경영담당자 또는 그 사업의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동하는 자) 또는 항상 사용자의 이익을 대표하는 자의 참가를 허용하는 경우에는 노조법상의 노조로 인정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