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론] 한국영화산업과 극장산업의 變化(변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9:37
본문
Download : 한국영화산업과극장산업의변화.doc
이 자료의 내용으로 만든 파워포인트 자료도 해피레포트에 올려놓았습니다. 파워포인트 data(자료)의 이름은 `한국영화산업과 극장산업의 變化(변화) - 극장의 멀티플렉스화를 중심으로` 입니다.
1) 김시우. 「영화산업의 성공요인analysis과 발전방향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본문일부]
-논문-
2) <씨네 21>. N406호. 2004. 8.
-연구통계자료-
1. 영화와 영화산업
메이저 멀티플렉스 영화관 사이트: 메가박스(http://www.megabox.co.kr/)
4. 극장내부구조의 형태와 change(변화) 실태(實態)
[한국영화론] 한국영화산업과 극장산업의 變化(변화)
[목차]
순서
4) 이정우. 「한국 영화산업의 구조적 change(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 중앙대 국제경영대학원
3) 김현정. 「한국영화산업의 구조 change(변화)에 관한 연구」 대전: 대전대 대학원. 2003. 2.
2. 미국의 영화산업과 한국의 영화산업 비교
*참고자료
한국영화산업과 극장산업의 變化(변화)를, 극장의 멀티플렉스화 추세를 중심으로 알아본 글 입니다.
Download : 한국영화산업과극장산업의변화.doc( 20 )
1) 2004년 현재 영화산업의 동향
5) 박창현. 「한국 영화관의 설비와 운영에 관한 연구」 부산: 경성대 대학원
서울: 중앙대 예술대학원
6. 맺음말
3. 극장산업 change(변화) 실태(實態)
한국영화, 한국영화산업, CGV, 극장산업, 멀티플렉스
1. 영화와 영화산업
CGV(http://www.cgv.co.kr/)
다. 파워포인트 자료의 이름은 `한국영화산업과 극장산업의 변화 - 극장의 멀티플렉스화를 중심으로` 입니다.
플레너스(http://www.primuscinema.com/)
2004년 현재 한국 영화산업은 양적으로 가장 성장한 시기에 접어들었고, 한국은 여타 해외영화시장에 비해 자국영화(한국영화)의 점유율이 외국영화보다 더 높은 세계에서 유일한 곳이 되었다(표1, 2 참고). 최근 몇 년 간 흥행에 성공한 한국 영화의 관객 수를 보아도 ‘쉬리’(620만), ‘살인의 추억’(560만), ‘실미도’와 ‘태극기 휘날리며’는 동반 1000만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였다.
5. 영화산업 자본의 독점과 세계화
1) 김미현 외. 2004. 『영화산업성장요인analysis』 영화진흥위원회, 2004
한국영화산업과 극장산업의 변화를, 극장의 멀티플렉스화 추세를 중심으로 알아본 글 입니다. 제가 작성한 한글 자료와 파워포인트 자료 양자는 상호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봅니다. 이 data(자료)의 내용으로 만든 파워포인트 data(자료)도 해피보고서에 올려놓았습니다.(이와 관련한 자료는 다음 장에서 제시하고 있다 ) 그러나 97년 IMF 이후 대부분의 기업들이 참여를 포기함으로써 영화 및 극장산업 현재의 메이저 몇 개 회사에 그 influence력이 집중되어있는 독과점 형태로 change(변화)했다. 영화산업과 극장산업에서의 수익성 확보를 위해 멀티플렉스화는 필수적 현상처럼 나타났으며,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대다수의 상영관이 서울 및 대도시에 편중되어 있어 균형적 성장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웹페이지-
- 도서, 잡지-
2) 김현숙. 「영상산업의 고용관계」. 서울대 사회발전 연구소.
1) 강내희. 「문화의 다양성, 세계화 그리고 무역」. 강내희. 2003.
롯데시네마(http://www.lottecinema.co.kr/)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 한국극장동향: 전국극장연합회, 2003
2) 한국영화산업 1월~9월 통계: 영화진흥위원회, 2004
1) 『시물라시옹』. 장 보드리야르. 1992. 민음사.
[서지사항]
설명
한국영화진흥위원회 사이트: http://www.kofic.or.kr
이 장에서는 현재 한국의 영화산업의 동향, 영화산업의 성장과 극장의 멀티플렉스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문제제기를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마주향하여 간략히 소개하고 글을 스타트하고자 한다.
한국의 영화산업과 극장산업의 이러한 발전과 change(변화)는 수 次例(차례)에 걸친 영화법 개정 과정과, 영화 배급권의 change(변화), 대기업의 영화산업 참여에 따라 단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제가 작성한 한글 data(자료)와 파워포인트 data(자료) 양자는 상호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봅니다.